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다. 실수를 회복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완벽주의 경향이 있다면, 불안이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런 완벽주의자들은 오히려 무결점을 추구하다, 더 큰 실수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람인 이상 실수는 하게 마련이다. 이때 당황하지 않고, 실수를 만회하는 것에 주의를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0이 없다면 순환소수가 없을 것이다고 앞에서 주장했지만, 0이 없다면, 소인수 2와 5가 분모일때, 순환소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보다 엄밀히는 0, 2, 5가 없으면, 순환소수가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그런가. 10의 소인수는 2와 5이다. 즉 9진법이 아니, 10진법 체계에선 2와 5가 순환소수를 만들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9진법으로 가면, 2와 5는 순환소수를 만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순환소수를 만드는 소인수들은 모두가 9로된 숫자를 어떤 다른 수를 곱해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2와 5는 어떤 자연수를 곱하더라도 9로된 수를 만들 수가 없는 것이다. 1로된 숫자를 만들 수도 없는 것이다.
즉 2와 5가 순환소수를 만들 수 없는 이유는 9로만 이뤄진 수, 1로만 이뤄진 수를 어떤 자연수를 곱해서도 만들 수 없는 것이고, 10의 소인수가 되기 때문이라고 하면 어쩌면 답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