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유통혁명은 규모의 확대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통수단과 운송수단의 발전에 힘입어, 경제 공동체의 지리적 범위도 확장되어왔다. 특히 유통 혁명은 금융의 혁명과 궤를 같이할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 쓰고자하는 것은 그런식의 유통혁명이 방향을 틀어 또는 곁가지의 새 방향으로 미래에는 오히려 물물교환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의약분업이후 약국의 불용재고약 문제가 이슈가 됐을때 해결책으로 등장한것이 반품이외의 약국간 불용 재고약의 교환이었다. 또 환경 보호 차원에서 중고 및 다시 쓰기 운동으로 물물교환이 지금 많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생산자간의 물물교환이 아닌 점에서는 이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물물교환에 정확히 맞닿아있지 않다.
유통혁명은 금융혁명과 궤를 같이해야 하지만, 금융이 부실하다면, 물물교환을 일으켜 금융의 부실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아이티 기술의 발전과 택배 등의 물류 운송 수단에 힘입어, 탐색비용이 엄청나게 싸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만약 생산자간에 탐색수단을 일치시켜 준다면, 지금도 많은 물물 교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어차피 화폐는 교화수단이 첫번째 목적이다. 가치 저장수단으로서 기능을 한 것을 제외하곤 물물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면, 거래 단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본인이 농산물을 생산하는 이라면, 자신의 농산물을 필요로하는 다른 농산물 업자와 물물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업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어차피 물건을 팔아 자신이 다른 물건을 구입한다하면, 구입하려는 물건의 생산업자가 자신의 물건을 구입할 의사가 있다면 바로 교역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택배 등의 운송수단과 아이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서 언제라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논외로 덧붙이자면,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대로, GDP에는 가사노동과 자급 생산물은 계상되지 않는다고 배웠지만, 물물교환도 부가세나 GDP계상은 없이 생산물가치가 커질 수 있다고 보여진다. 물론 운송비용은 들 수 있다. (아마 알고 있기로는 부동산 교환은 세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그게 통신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면, 또다르다. 어쨌든, 물물교환이 지금의 금융왜곡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많은 영세업자들은 돈이없어 먹고싶은것 쓰고 싶은 것을 참고 살기도 한다. 물물교환은 어차면 이런 분들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부지만 제도적인 물물교환을 적극 장려할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