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로레알코리아가 후원하고,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주관하는 ‘제24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이 16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렸다.
시상식은 학술진흥상과 펠로십 등 2개 부문으로 진행됐으며, 올해 학술진흥상에는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며, 알츠하이머 유발인자의 독성을 촉진하는 세포 내 단백질 발굴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미희 교수(금속신경단백질화학 연구단장)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의 영예를 안은 임미희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치매)의 발병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여, 금속, 단백질, 신경전달물질 및 활성 산소종으로 이루어진 생체 네트워크와 치매 병리와의 연관성 규명 연구를 발표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주어지는 펠로십 부문에는 ▲강미경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조교수 ▲전지혜 경상국립대 생명과학부 조교수 ▲조유나 부산대 의과대학 연구교수 ▲이정현 국립공주대 환경교육과 조교수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 및 펠로십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와 함께 연구지원비 3천만원과 7백만원이 각각 수여됐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윤병순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개회사에서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손실, 에너지와 디지털 전환 등 복합 위기 속에서 과학 분야에 그 어느 때보다 창의성과 포용성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오늘의 수상자들은 과학계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넘어 동료와 후학들에게 영감을 주는 든든한 롤 모델인 만큼 여성과학자상이 앞으로도 과학을 향한 여성들의 꿈을 더 멀리, 더 넓게 이어주는 따뜻한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시상식에 이어 ‘글로벌 무대를 향한 한국의 여성과학자들의 여정’을 주제로 패널 토크도 진행되었다. 패널에는 1998년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을 국내 최초 수상한 유명희 박사, 2019년 펠로십을 수상한 KAIST 김필남 교수, 올해 학술진흥상 수상자 임미희 교수, 올해 펠로십 수상자 강미경 교수가 참여해, 글로벌 연구활동 경험과 후배 과학자들을 위한 조언을 소개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유네스코의 교육·과학·문화 분야 이념을 국내에 확산하고,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성평등 증진을 위해 로레알코리아,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과 함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을 20여 년 간 공동추진하고 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과학기술계에서 여성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차세대 여성 인재의 지속적인 발굴과 지원에 힘을 보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