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팀장은 검찰이 삼진제약과 국제약품 등 중견제약사를 상대로 리베이트 수사에 나서고 있다며, 제약 오너들이 의료윤리를 짓밟지 않았나 강령히 비난하고 나섰다. 제보팀장의 제보 기사를 원문 게재한다.
다음은 제보팀장의 원문 기사다.
검찰이 삼진제약·국제약품 등 중견 제약사를 상대로 전공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에 대한 수사에 나섰다. 사회적 약자인 전공의까지 리베이트 대상으로 삼은 이번 사안은 기업의 생명존중 윤리 실종, 오너 리더십의 무책임, 그리고 '말뿐인 ESG경영'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공의까지 돈봉투…제약 오너들, 의료윤리 짓밟아
검찰은 삼진제약, 국제약품 등 중견 제약사 3곳과 병원 관계자들이 전공의에게까지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제품설명회를 가장한 회식비 제공 등은 단순한 편법 마케팅이 아닌, 의료 현장의 근간을 뒤흔드는 중대 범죄다. 일부 제약사는 과거에도 리베이트로 과징금 처분을 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유사한 범행을 반복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까지 타깃…생명윤리와 ESG, 전면 부정당해
전공의는 낮은 급여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의료계 내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리베이트 제공은 단순한 법 위반을 넘어선 윤리 파괴 행위다. 업계는 입을 다물고 있지만, 국민의 신뢰는 더 이상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무너지고 있다. ESG경영을 외치는 오너 경영진들은 이 상황에서조차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ESG 실천’ 구호만 외친 제약사…오너들의 침묵은 공모다
삼진제약과 국제약품 등은 기업설명서와 홍보자료를 통해 ‘윤리경영’, ‘ESG 실천’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그 모든 구호가 허위에 가까운 ‘말잔치’였음을 보여준다. 실질적인 내부통제, 윤리준법 시스템이 존재했다면 전공의에게까지 리베이트가 흘러들 수 없었을 것이다. 결국 이는 오너리스크이자 ESG 실격 사안이다.
반복되는 리베이트 관행…근절 위한 실명 공개·처벌 강화 필요
이번 사건이 단순한 수사로 그쳐선 안 된다. 의료계와 제약계의 뿌리 깊은 리베이트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해선 오너 실명 공개, 회사 책임자 처벌 강화, 정부 차원의 구조 개혁이 절실하다. 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이윤을 추구해온 기업의 탐욕에 이제는 분명한 대가가 따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