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money&policy
저잣거리report
건강 재화
보험이야기
식도락과 즐길거리
독자의 뉴스와 의견
기자의 說說說
people
    • 보건연 성명
    • 빌로이(성분명졸베툭시맙치료가 필요한 말기 위암 환자들을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은 위태로운 상황으로 내몰아서는 안 된다.

       위암치료제 빌로이와 식약처 허가를 동시에 받은 바이오마커 클라우딘18.2 양성 여부 확인을 위한 동반진단 의료기기가 신의료기술평가 절차로 인해 빌로이가 출시되어도 말기 위암 환자들이 비급여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정부는 신속히 개선해라.

       

      2024 9 20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식약처) 클라우딘18.2(CLDN18.2) 양성이며 HER2 음성인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선암 및 위식도 접합부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플루오로피리미딘계 및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1차 치료제로 ‘빌로이’(성분명졸베툭시맙)를 허가했다이와 함께 CLDN18.2 양성 여부는 식약처에서 승인한 동반진단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평가한다”는 내용을 명시했으며식약처는 동반진단 의료기기인 한국로슈진단의 VENTANA CLDN18 (43-14A) RxDx Assay도 같은 날 동시 허가했다빌로이는 일본(2024.3.26.), 영국(2024.8.14.), 유럽 EMA(2024.9.19.), 미국 FDA(2024.10.18.), 캐나다(2024.12.13.), 중국(2024.12.25.)에서도 동일하게 허가되었다.

       

      빌로이 치료 대상이 되는 클라우딘18.2 양성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면역조직화학염색검사법(Immunohistochemistry, 이하 IHC)을 사용한다. IHC 검사법은 암 조직 내 특정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유럽종양학회(ESMO) 임상진료지침과 미국 국립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서도 대상 환자 선정 기준으로 동일한 검사법을 권고하고 있다.

       

      아스텔라스는 위암치료제 빌로이를 2025 1월 출시를 준비 중이지만말기 위암 환자들은 비급여로조차 치료받을 수 없는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 있다이는 빌로이를 처방받기 위해 동시 허가받은 동반진단기기인 한국로슈진단의 VENTANA CLDN18 (43-14A) RxDx Assay를 통해 클라우딘18.2 양성 여부를 확인해야 하지만현재 클라우딘18.2에 대한 진단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IHC 검사법이 암종이나 바이오마커가 새롭게 추가될 때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신의료기술 평가를 통과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클라우딘18.2에 대한 IHC 검사법은 이미 HER2(유방암위암), ALK(폐암), PD-L1(폐암위암등 주요 바이오마커 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따라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기존기술로 인정될 경우빌로이는 클라우딘18.2에 대한 IHC 동반진단과 함께 해당 말기 위암 환자들이 즉시 치료받을 수 있게 된다그러나 기존기술이 아닌 신의료기술 평가를 받아야 한다면 사용 가능 시점까지 최대 320(의료기기 허가 80 + 진단검사 신의료기술 평가 140 + 의료행위 건강보험 등재 100)이 소요될 수 있다이 기간에 클라우딘18.2 진단이 불가능해져 해당 말기 위암 환자들은 치료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이는 치료가 한시가 급한 말기 위암 환자들을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은 위태로운 상황으로 내모는 것과 같다.

       

      지난해 11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차 전문평가위원회 회의에서 빌로이의 IHC 동반진단 안건에 대해 주요 임상 가이드라인 등재 근거 제시를 요구하며 결정을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이후 빌로이는 2024 12 20미국암종합네트워크(NCCN) 위암 진료지침개정판(Version 5.2024)에 우선권고요법(category1)로 등재되었다지난 2025 1 6일에는 한국형 위암 진료 가이드라인이 대한위암학회 공식 학술지인 JGC(Journal of Gastric Cancer) 온라인판에도 게재되었다이로써 추가 임상 가이드라인 등재 근거를 충족하게 되었다오는 2025 1 20일로 예정된 2차 전문평가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 클라우딘 18.2 진단 공백으로 인해 말기 위암 환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말기 위암치료제 빌로이와 식약처 허가를 동시에 받은 바이오마커 클라우딘18.2 양성 여부 확인을 위한 동반진단 의료기기 신의료기술 평가 논란은 국내 동반진단 제도의 문제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이다신약 개발과 첨단 의료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상황에서 동반진단 관련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환자들의 치료 접근권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특히치료 시기가 생명과 직결되는 말기 암 환자들에게 이러한 지연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이에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생명과 직결된 치료제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동반진단 제도 관련 개선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

       

      2025 1 15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백혈병환우회한국GIST환우회한국신장암환우회암시민연대,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한국건선협회한국1형당뇨병환우회한국신경내분비종양환우회한국PROS환자단체한국파킨슨희망연대)

    Copyrights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 www.h-mone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밴드공유
최신기사

상호 : health&market reporters l 연락처 : 010-7979-2413 l e-메일 : djkangdj@hanmail.net
발행인: 강동진 l 등록번호: 서울, 다10470 l 등록 일자: 7월 13일
Copyrightⓒ 2012 Health & Market All reghts reserved.